엔터테인먼트미국에서 열린 한류 축제에14만 명의 관객과 전 세계적 관심을 집중시킨다

미국에서 열린 한류 축제에14만 명의 관객과 전 세계적 관심을 집중시킨다

누가 미국에서 한류, 특히 케이팝이 부흥하고 있는지 믿을 수 있을까? 최근 LA에서 열린 한류축제 KCON에 참여한 14만명의 관객과 전 세계 590만명의 온라인 시청자들이 그 증거다. 이번 행사는 2012년에 미국 어바인에서 처음 시작된 이래, 11년 만에 돌파구를 찾은 듯 하다. CJ ENM이 주최하는 이 행사는 이제 더 이상 단순한 음악축제가 아니라, 한국의 다양한 콘텐츠와 문화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출처 : KCON official

케이팝에 열광하는 팬들이 사용하는 특수한 용어, 바이어스나 에이지 라인 등이 미국에서도 점점 통용되고 있다. 이러한 팬들의 언어와 문화를 자기 것으로 만든 것은 한류가 미국 내에서 얼마나 깊게 자리 잡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다. 특히, 이러한 용어는 미국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동양 문화의 복잡한 존댓말이나 그룹 내 계급 구조 등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KCON에서 눈에 띄는 것은 케이팝을 넘어 다양한 K-컨텐츠가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다. 뷰티, 푸드,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브랜드와 제품들이 미국의 젊은 세대에게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와 브랜드들은 KCON에서의 부스 운영을 통해 직접적인 마케팅과 브랜드 인지도 제고의 기회를 얻었다.

출처 : KCON official

KCON은 또한 미국 내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장이 되고 있다. 한국의 뷰티, 패션, 음식, 생활 분야 등 다양한 콘텐츠가 모여 있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 케이팝 뿐만 아니라 K-푸드 홍보관, 한국의 교복과 급식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행사를 주관하는 CJ ENM은 이번 KCON을 통해 미국에 한류 문화를 더 깊게 전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브랜드의 위치를 더욱 강화하려는 계획이다. CJ ENM은 향후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이러한 크기와 규모의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며,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상

관련된기사

1950년대부터 현대까지 2024 토요타 랜드크루저, 클래식과 혁신의 교차점

0
토요타는 최근 새로운 랜드크루저 250과 퍼스트에디션 랜드크루저 70을 출시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랜드크루저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토요타의 아이콘 중 하나로, 전통과 혁신이...

주간베스트기사

1950년대부터 현대까지 2024 토요타 랜드크루저, 클래식과 혁신의 교차점

0
토요타는 최근 새로운 랜드크루저 250과 퍼스트에디션 랜드크루저 70을 출시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랜드크루저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토요타의 아이콘 중 하나로, 전통과 혁신이...